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상단으로 이동

메뉴 건너뛰기

구조
2011.02.04 19:14

구조 단위 kN, MPa

조회 수 54,29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구조도면 및 구조계산서를 보면

단위하중 3kN/㎡. 5kN/㎡, 10kN/㎡

콘크리트를 Fck=18MPa, 21MPa, 24MPa 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Fck=설계기준강도는 기호이며 MPa는 단위입니다.)

 

하중 및 압축강도의 단위를 kg/㎡, kgf/c㎡를 단위면적당으로 하였으나 kN, MPa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kN를 키로뉴톤, Pa는 파스칼이라 읽습니다.)

 

압력단위는 국제적으로 Pa 단위를 사용하므로 우리나라 건축구조에서 압축강도 단위를 kgf/c㎡에서 Pa로 바꾸는 것은 국제단위에 맞추려바꾼것 입니다.

 

예전에는 210kgf/c㎡ 단위를 국제적인 CGS단위로 바뀌면서 210kg/c㎡가 21MPa로 바꾼 겁니다.

 

 

N은 힘의 단위로 질량의 단위인 kg과는 엄연히 다르다.

1N은 질량이 1kg인 물체에 작용하여 1m/sec²의 가속도를 생기게 하는 힘이다.이 물체를 가속시키는 힘은 m×a =F 라는 식으로 구한다.m=물체의 질량(kg) a=가속도m/sec²) F=힘(N)

∴ 1kg×1m/sec²=1N

 

 우리가 가장 익숙하게 느끼는 힘 중 하나가 중력이다.

지구는 그 중심으로 질량을 갖는 모든 물체에 9.8m/sec²의 가속도로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하며 이 중력에 의해서 질량 갖는 모든 물체에는 무게가 있다.

∴ 1kg(질량)×9.8m/sec²=9.8N(중력) =1kg중(무게)

 

 우리는 흔히 몸무게를 “몇kg”등으로 말하는데 정확하게는 몇kg×9.8m/sec²=“몇kg중”으로 말해야 되며 이를 다시 중력(힘) 으로 표시하면 몇kg×9.8m/sec²="몇N"이 된다.

 

 60kg중 몸무게를 가진 사람이 로프에 매달려있다면 로프가 받고 있는 힘은 60kg×9.8m/sec²=588N이 된다.

 

 

어떤 물체의 질량이 1kg이라면 지구에서 작용하는 무게힘은 1kg*9.8m/sec²=9.8N이 되고 달에서 작용하는 무게힘은 1kg*1.6m/sec²=1.6N으로 약1/6로 줄어든다.


 

다음은 단위를 보겠습니다.

ㅇ kgf = 지구상에서의 힘 또는 무게의 단위로
질량 1kg의 물체를 9.8m/s²의 속도로 움직이는 힘(= 9.8kg*m/s²= 9.8N)

ㅇ N = 국제적인 힘의 단위로
질량 1kg의 물체를 1m/s²의 속도로 움직이는 힘(= 1/9.8kgf)

ㅇ Pa = 단위 면적당 작용하는 힘, 즉 압력의 단위로 1N/㎡입니다.

 

다음은 과정입니다.

1kgf/c㎡ = 9.8N/0.0001㎡입니다. (여기서 1kgf = 9.8N, c㎡ = 0.0001㎡)

9.8N/0.0001㎡ = 98000N/㎡입니다.

98000N/㎡ = 98000Pa = 0.098MPa입니다. (여기서 1N/㎡ = 1Pa, Pa = 0.000001MPa)

0.098MPa = 약 0.1MPa입니다.

 
1kgf/c㎡ = 9.8N/0.0001㎡ = 98000N/㎡ = 98000Pa = 0.098MPa = 약 0.1MPa

따라서 압축강도 240kgf/c㎡는 24MPa가 되며, 210kgf/c㎡는 21MPa가 된다.

 

1 tonf는 9.8 kN 입니다.

 


  1. No Image

    건축구조기준 전부개정 고시

    건축구조기준 [시행 2022. 10. 11.] [국토교통부고시 제2022-570호, 2022. 10. 11., 전부개정] 【제정·개정이유】 ◇ 제ㆍ개정 이유 건축에 대한 다양한 수요와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신재료ㆍ신기술 등에 관한 최근 연구결과 및 해외기준 등을 반영하여...
    Category구조 Views1,423
    Read More
  2. No Image

    건축구조기준 전부개정(2016년 5월 31일)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6 ­ 317호 「건축구조기준」(국토교통부고시 제2015-769호, 2015.10.30) 전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 고시합니다. 2016년 5월 31일 국토교통부장관 건축구조기준 전부개정 건축구조기준 전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 첨부 : 건축구조기준...
    Category구조 Views3,851
    Read More
  3. No Image

    지반의 허용지내력과 암반의 종류

    건축구조기준 [별표 8] <개정 2009.12.31> 지반의 허용지내력(제18조 관련) (단위 : kN/㎡) 지반 장기응력에 대한 허용지내력 단기응력에 대한 허용지내력 경암반 화강암·석록암·편마암·안산암 등의 화성암 및 굳은 역암 등의 암반 4000 각각 장기응력에 대한 ...
    Category구조 Views16,755
    Read More
  4. 기초공사-동결심도

    1. 땅의 동결 추운 날씨가 지속되면 땅이 얼어버린다. 땅속에는 수분이 포함되어있어 땅이 어는 것이다. 당연히 건축물의 기초는 얼지 않는 땅에 앉혀야 한다는 것입니다. 2. 동결과 동결심의 용어 - 동결선(Frost Line) : 땅의 어는 지점을 측정하여 연결한 ...
    Category구조 Views31,536
    Read More
  5. No Image

    "소규모건축물 내진보강 포인트 20" 게재

    소규모건축물, 내진보강 포인트 지진시 2층 이하 소규모건축물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건축주의 자발적인 내진보강을 유도하기 위해 "소규모건축물 내진보강 포인트 20"을 마련하여 게재합니다. 100302 소규모 건축물 내진보강 포인트 20.pdf
    Category구조 Views13,505
    Read More
  6. No Image

    구조 단위 kN, MPa

    구조도면 및 구조계산서를 보면 단위하중 3kN/㎡. 5kN/㎡, 10kN/㎡ 콘크리트를 Fck=18MPa, 21MPa, 24MPa 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Fck=설계기준강도는 기호이며 MPa는 단위입니다.) 하중 및 압축강도의 단위를 kg/㎡, kgf/c㎡를 단위면적당으로 하였으나 kN, ...
    Category구조 Views54,29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나눔고딕 사이트로 가기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