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으로 이동

메뉴 건너뛰기

국가법령정보 국회법률정보 국토부민원 국토계획법 건축법 대장규칙 방화규칙 설비규칙 구조기준 주차장법 도시교통정비법 녹색건축법 에너지기준 건축물관리법 주택법 주택건설규정 집합건물법 분양법 건축사법 건설진흥법 건설산업기본법 자치법규정보시스템 서울시조례 도시개발법 도시정비법 도로법 장애인편의 소방법 공중화장실 오수량산정 범죄예방기준
(*.168.0.1) 조회 수 22,435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토지에 대한 권리를 3차원 입체적으로 분석을 하면 다음과 같이 크게 3가지로 구분됩니다.

1. 공중권
    - 사적공중권 : 일조권, 조망권, 용적률 등
    - 공적공중권 : 전파흐름, 항공기 통행 등

2. 지표권

3. 지하권
1403838438-58.jpg
지표를 기준으로 공중권과 지하권이 영향을 미치는 범위를 법으로 몇 M로 규정해 두지는 않습니다.

다만 정당한 범위내라고 규정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정당한 범위내에서 해당 사적공중권과 한계심도 내의 지하권 대해 피해가 발생될 경우 보상의 원칙이 적용됩니다.

즉 일조권이나 조망권을 침해받는 경우나 용적률인센티브와 같은 경우 적절한 보상이 지급되며
한계심도의 경우 보통 20~40m 정도로 보는데 예를 들어 도심지의 한계심도가 40m이고 지하철이 도심지에서 40m이내의 깊이로 설치될 경우 해당 지표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적절한 보상을 지급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구분지상권이라 하면, 선하지나 터널과 같이 공중권이나 지하권을 이용하는 경우 설정하는 권리이며,
지상권이라 하면, 공중권과 지하권은 물론 경작물재배와 같이 지표권의 이용까지 설정하는 권리입니다.

참고로 지하권에서 지하의 미채굴광물에 대해서는 토지소유주의 소유권이 인정되지 않으며, 광업권을 획득한 사람에게 그 권리를 인정하고 있습니다.

※ 용어 Tip
    TDR : 개발권이양제도(Transfer of Development Right)
TDR : Transfer of Development Right 
개발권은 지역제에 의하여 각 필지에 허용된 용량과 높이가 제한됨에 따라 발생하며, 모든 토지는 지역제에 의하여 사유개발권(개발밀도등)을 제한받고 있다. 개발권이양제도는 토지소유권에서 토지이용에 대한 개발권을 분리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고안된 기법이다. 
개발권이양제도는 재산의 일부를 다른 곳으로 이전할 수 있다는 단순한 원리에 근거하여, 토지에서 분리된 개발권을 다른 필지로 이전하여 추가 개발하는 것을 인정하는 제도이다. 이때 개발권의 지표로는 보통 용적율과 호수밀도가 사용되며, 다른 필지로 이전할 수 있는 용적율이나 호수밀도는 지역제로 정해진 개발허용한도 가운데 미이용부문(법정용적율과 현재 이용용적율의 차이)이 될 것이다. 
이 제도에 따라 토지소유자는 토지소유권을 보유한 채 자신이 사용하지 않는 개발권의 일부 또는 전부를 타인에게 매각할 수 있다. 물론 일단 개발권을 매각해버리면 그 대지내에서는 타인으로부터 개발권을 구입하지 않은 한 개발할 수 없다. 이러한 개발권의 이양은 시장 또는 지자체 등을 매개로 이루어지며 대지마다 개발권의 상황은 등기부상에 기록된다. 
개발권이양제도는 기본적으로 지역제에 따라 명확한 밀도한계가 전제되어야 한다. 기존 지역제에 의해 이미 용적율이 지나치게 허용되어 있다면 아무도 추가 개발권을 매입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개발권을 이전받은 지역에서는 지역제에 의한 용적율의 허용한계를 초과하여 용적율이 추가 개발될 수 있다는 전제가 있어야 한다. 즉 개발권이양제도는 개발권 이전에 의하여 용적율의 분포가 어떻게 되든 그 총량은 일정하다는 논리에 근거한다. 
개발권이양제도는 1970년대 들어서면서 뉴욕시에서 고안되어 미국의 일부 도시에서 채용하고 있는 제도로서 주로 도시의 고밀도지역에서 역사적 구조물의 보존을 위해 사용되다가, 점차 교외나 농촌지역의 농지 혹은 환경적으로 민감한 습지등 자연환경을 보존하기 위한 기법으로 제안되고 있다. 
이 제도에 의해 개발권 거래시장이 성립하게 되며, 여기에는 개발권을 매각하는 측과 매입하는 측이 존재한다. 이것은 곧 개발의 억제와 촉진의 관계로 설명될 수 있는데, 전자에 주목하면 현상태로 개발이 억제되는 데 비해, 후자는 개발밀도를 이전받아 고밀개발을 할 수 있다. 전자는 개발권을 이전하는 지역, 즉 보존지역(sending zone, preservation zone)이 되며 후자는 개발권을 이전받는 지역, 즉 개발(촉진)지역(receving zone, development zone)이 된다. 보존지역의 토지소유자에게 잔여개발권을 팔도록 하여 기존 환경의 보존을 유도하게 되며, 개발(촉진)지역의 개발자에게는 건축물 보존구역의 토지소유주로부터 개발권을 사도록 장려하게 된다. 이렇게 개발권이양제도는 역사적 건축물이나 자연환경을 위한 보존지역과 개발이 요구되는 특정지역에서 유용하다. 
개발권이양제도는 기존의 토지나 건축물의 보존가치와 상관없이 지역제에서 허용된 용도와 규모로 개발할 수 있다는 기존 용도지역제의 경직성을 보완하여 시장주도형 도시개발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방식의 하나이다. 그리고 공공이 토지를 취득하지 않고서 공익적인 차원에서 사유재산의 보호, 즉 토지소유자 보상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그러나 개발권이양제도를 현실적으로 적용하는 데 있어서 많은 논쟁의 여지가 있으며 운용과정에서도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계획기술적 측면에서 개발권을 어떻게 할당하고 규제할 것인지, 지자체의 허가 뿐만아니라 당사자간의 계약을 통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매매시장의 제대로 성립될 수 있을지, 법적으로 TDR의 소유권과 세법상의 문제 등은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TDR허가절차상에 소요되는 많은 시간과 비용을 극복하고 보편화되어 사용할 수 있을지 등 많은 문제가 남아있다.


  • ?
    mahru 2014.09.24 11:22 (*.168.0.1)
    토지소유권의 구분
     
    우리나라 민법에서는 토지의 소유권에 대해 ‘정당한 이익이 있는 범위 내에서 토지의 상하에 영향을 미친다’고 규정하고 있다(제212조). 따라서 토지 소유권은 지표면 뿐 만이 아니라 그 지상의 공간 및 지하까지로 확장된다. 다만 토지 소유권은 지상 및 지하에 무한정 확장되는 것이 아니라 ‘정당한 이익’이 있는 범위까지 확장된다.

    정당한 이익이 있는지의 여부는 구체적인 경우 사회관념에 따라 판단되어야 한다. 따라서 지하철 건설 등 공익사업이라도 토지의 지하를 사실상 영구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공익사업자는 토지 소유자에게 토지의 이용이 저해되는 정도에 따라 보상해야 한다.

    토지 소유권은 공간적 범위에 따라 지표권ㆍ공중권ㆍ지하권으로 구분된다. 지표권이란 토지 지표를 토지 소유자가 배타적으로 이용해 작물을 경작하거나 건물을 건축할 수 있는 등의 권리를 말한다. 공중권이란 토지소유자가 공중 공간을 타인의 방해 없이 일정한 고도까지 포괄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지하시대와 관련된 지하권은 토지 소유자가 지하공간에서 어떤 이익을 얻거나 지하공간을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국가에 따라서는 지하권을 토지 소유자의 권리로 모두 인정하는 나라도 있지만, 일부만을 인정하는 나라도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광업권의 객체인 광물에 대해서는 토지 소유자의 소유권이 미치지 못한다고 본다. 즉 토지에 대한 소유권은 광업법에 의한 광물(금속,비금속,유전)의 조광권(租鑛權)에 대해선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조주현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최근에는 지하철이나 지하상가 등 지하공간의 이용이 증대되는 추세여서 정확한 지하권의 범위에 대해선 법원의 판단에 의존하는 경향이 많다”며 “서울시 조례에서는 토지의 용도와 이용 상태에 따라 한계심도 이내의 토지에 대해 지하공간 이용시 깊이에 따른 이용저해율을 적용해 보상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여기서 한계심도란 토지 소유자의 통상적 이용행위가 예상되지 않으며, 지하시설물 설치로 인해 일반적인 토지 이용에 지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깊이를 말한다. 지하철 공사 등으로 지하공간의 이용이 저해되는 한계심도는 서울시의 현행 규칙에 의하면 용도 지역별로 다르나 최대 40m로 규정하고 있다. 이 범위 내에서 깊이에 따른 이용 저해율에 따라 보상하도록 되어 있다.

    서울시 등 공공기관이 지하철 건설 등 입체적 지하공간 개발을 위해 타인 소유의 지하공간을 이용하려면 구분지상권을 설정해야 한다. 구분지상권은 지난 1984년 민법개정으로 신설됐다. 구분지상권은 지하의 범위를 정해서 등기해야 하며, 토지 소유자 전원의 승낙을 얻어야 한다.

    실례로 오는 2009년 완공예정인 지하철 9호선 주변 토지 소유자들은 이같은 구분지상권 설정에 따른 보상비로 무려 190억원을 챙겼다. 서울시 지하철 건설본부에 따르면 9호선 공사로 인한 구분지상권 설정 면적은 총 2만8000여평으로 보상비만도 190억원이나 됐다. 서초구 반포 주공3단지와 인근 삼호가든 아파트 주민 3000여명은 각 500만원씩을 수령했다.

  1. No Image notice

    건축관계법규 법률용어정리

    건축관계법규 법률용어정리 정밀하고 정치한 해석을 요하는 것 중에 대표적인것이 법률용어다. 잘못하면 역해석이 나올 수도 있고 심지어 내용을 누락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쉬운 듯 하면서 건축관계법규에서 사용하는 몇 가지를 예시를 통하여 서술한다. 1. ...
    Category용어 Views265,354
    read more
  2. No Image notice

    전국자치법규

    링크를 클릭하시면 해당시의 자치법규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서울 법무행정정보] 강남구 금천구 동작구 송파구 은평구 서대문구 강서구 강동구 노원구 마포구 영등포구 광진구 양천구 강북구 도봉구 성동구 종로구 중구 관악구 구로구 동대문구 성북구 중랑구...
    Category국계법 Views293,492
    read more
  3. No Image notice

    용도지역의 정의

    용도지역의 정의 토지의 이용 및 건축물의 용도, 건폐율, 용적률, 높이를 제한함으로써 토지를 경제적,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공공복리등 도시기능의 증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서로 중복되지 아니하게 도시관리계획으로 결정하는 지역 도지역 지정목적 도시지역...
    Category용어 Views286,452
    read more
  4. No Image notice

    도로 및 지목 종류 구분

    도로종류 및 구분 구 분 도로의 폭 차 로 자주 표시되는 내용 광로 1류 70m 이상인 도로 10차로 이상 2류 폭 50m 이상 70m 미만 6 ~ 8차로 3류 폭 40m 이상 50m 미만 대로 1류 폭 35m 이상 40m 미만 4 ~ 6차로 상업지역에서 접함으로 2류 폭 30m 이상 35m 미...
    Category용어 Views274,724
    read more
  5.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중 개별 점포의 방풍구조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시행 2018. 9. 1.]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881호, 2017. 12. 28., 일부개정] 제5조(용어의 정의) 이 기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 각 호와 같다. 아. "방풍구조"라 함은 출입구에서 실내외 공기 교환에 의한 열출입을 ...
    Category관계법규 Views10,839
    Read More
  6. No Image

    대기관리권역의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2019. 4. 2., 제정] (가정용보일러)

    대기관리권역의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 [시행 2020. 4. 3.] [법률 제16305호, 2019. 4. 2., 제정] 【제정·개정이유】 [제정] ◇ 제정이유 미세먼지의 배출을 저감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국민건강에 미치는 위해를 예방하고 보다 쾌적한 생활...
    Category관계법규 Views2,453
    Read More
  7. No Image

    서울건축사신문 2019-03호

    서울건축사신문입니다
    Category관계법규 Views2,887
    Read More
  8. No Image

    부정지층의 승강로 구출구 설치-한국승강기안전공단

    한국승강기안전공단 게시판 뷰구분엘리베이터제목부정지층의 승강로 구출구 설치작성일2001-06-04조회수2,645"승강기 설계지침서"에는 고층용 빌딩의 부정지층 구역이 10m 이상일 때 약 10m마다 1개소의 승강로 구출구를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는데, ...
    Category관계법규 Views3,563
    Read More
  9. 공중권, 지표권, 지하권(구분지상권과 지상권의 구분 및 한계심도)

    토지에 대한 권리를 3차원 입체적으로 분석을 하면 다음과 같이 크게 3가지로 구분됩니다. 1. 공중권 - 사적공중권 : 일조권, 조망권, 용적률 등 - 공적공중권 : 전파흐름, 항공기 통행 등 2. 지표권 3. 지하권 지표를 기준으로 공중권과 지하권이 영향을 미치...
    Category관계법규 Views22,435
    Read More
  10. No Image

    과밀부담금 부과를 위한 2012년도 표준건축비

    고시 제2011-838호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1- 호 과밀부담금 부과를 위한 2012년도 표준건축비 수도권정비계획법 제14조 규정에 따라 과밀부담금 부과를 위해 산정한 2012년도 표준건축비를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1년 12월 일 국토해양부장관 □ 2012년도 ...
    Category관계법규 Views10,929
    Read More
  11. No Image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대상 1종시설물 가. 공동주택 ㆍ16층 이상의 공동주택 나. 공동주택 외의 건축물 ㆍ21층 이상 또는 연면적 5만제곱미터 이상의 대형건축물(철도 역시설은 제외한다) 및 다중이용 건축물(관람장은 제외한다) ㆍ1종시설물에 해...
    Category관계법규 Views13,964
    Read More
  12. No Image

    1~2인 가구를 위한 소형주택 공급을 대폭 확대

     국토해양부(장관 정종환)는 1~2인 가구 증가에 대응하여, 직주근접이 가능한 도심에서 ‘도시형 생활주택’ 및 ‘준주택’ 공급 확대를 위한 「도심내 소형주택 공급 활성화 대책」을 확정․발표하였다.
    Category관계법규 Views12,520
    Read More
  13. No Image

    2010년도 과밀부담금 산정을 위한 표준건축비

    국토해양부고시제2009-1221호 2010년도 과밀부담금 산정을 위한 표준건축비 수도권정비계획법 제14조제2항의 규정에 따라 2010년도 과밀부담금 산정을 위한 표준건축비를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0년 1월 4일 국토해양부장관 ㅇ 2010년도 과밀부담금 산정...
    Category관계법규 Views14,830
    Read More
  14. No Image

    노유자시설 관련 2009 보육사업안내

    노유자시설의 영유아보육시설 관련 제반사항이 수록되어있으며,어린이집 설계시 필독해야할듯합니다.
    Category관계법규 Views14,267
    Read More
  15. No Image

    건축물 용도별 오수및정화조처리대상인원산정기준개정 비교표

    환경부공고 제2009-122호 「건축물의 용도별 오수발생량 및 정화조 처리대상인원 산정방법」(환경부고시 제2007-178호, 2007.11.28)을 일부 개정함에 있어 그 개정내용과 취지를 국민에게 미리 알려 의견을 듣고자 「행정절차법」제41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
    Category관계법규 Views14,831
    Read More
  16. No Image

    엔지니어링사업대가의 기준

    지식경제부공고 제 2008 - 109호 엔지니어링기술진흥법 주무부처의 변경에 따라 동법 시행령 제14조의 규정에 따른 「엔지니어링사업대가의 기준」을 다음과 같이 다시 공고합니다. 2008. 6. 3. 엔지니어링사업대가의 기준 제 1 장 총칙 제1조(목적) 이 기준은 ...
    Category관계법규 Views12,36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Next
/ 3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나눔고딕 사이트로 가기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