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으로 이동

메뉴 건너뛰기

국가법령정보 국회법률정보 국토부민원 국토계획법 건축법 대장규칙 방화규칙 설비규칙 구조기준 주차장법 도시교통정비법 녹색건축법 에너지기준 건축물관리법 주택법 주택건설규정 집합건물법 분양법 건축사법 건설진흥법 건설산업기본법 자치법규정보시스템 서울시조례 도시개발법 도시정비법 도로법 장애인편의 소방법 공중화장실 오수량산정 범죄예방기준
주차장법
2009.04.23 01:10

서울시 주차상한제 개선계획

(*.130.125.57) 조회 수 14,50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자료출처 서울특별시 도시교통본부 주차계획담당관

- 주차상한제 시행지역인 공영주차장 주차요금 1급지 지역 7개에서 11개로 확대

- 부설주차장 설치 한도 조정, 불필요한 주차장 설치로 인한 주차수요 유발 방지

- 주차상한제 실시로 일평균 주차수요 11,220대 감축, 연평균 487억원 비용절감

 

square08_blue_5.gif 서울시는 도심 등 교통혼잡지역에서의 주차수요 발생 억제를 위해 주차상한제 시행지역인 ‘공영주차장 주차요금 1급지 지역’을  2배 이상(30.43㎢)으로 확대하고, 부설주차장의 설치제한기준을 강화하는「서울시 주차장설치 및 관리조례」의 개정안을 마련, 오는 10월부터 시행할 계획이라고 14일(월) 밝혔다.

   주차상한제는 교통혼잡지역에 설치되는 백화점 등 상업시설이나 업무시설의 부설주차장 설치규모를 일반 지역 설치기준의 50% 이내로 제한, 주차수요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교통수요를 적정하게 관리하는 제도다.

   서울시는 ’97년부터 7개의 공영주차장 주차요금 1급지 지역(4대문 주변·신촌·영동·영등포·잠실·천호·청량리 지역)에 위치한 상업지역 13.76㎢(서울시 전체면적의 2.3%)에 대해 주택용도 건축물 및 오피스텔을 제외한 신규 건축물의 신축 시 부설주차장을 일반지역 설치기준의 50%(최저)~60%(최고) 범위 내에서 설치하도록 하는 내용의 주차상한제를 시행해 왔다.

<주차상한제 적용범위 확대 : 목동, 용산·마포, 미아 등 신규 지정>

square08_blue_5.gif 서울시는 우선 변화한 도시공간 구조 및 교통수요 집중지역을 적절히 반영해 주차상한제 적용 범위를 확대함은 물론, 상업지역에 한정됐던 주차요금 1급지 지역 내 주차상한제 적용범위를 ‘상업화된 준주거지역’, ‘교통혼잡특별관리구역’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주차상한제가 시행되는 서울의 7개 공영주차장 주차요금 1급지 지역은 1980년대에 구획된 도심 및 부도심지역이어서 도시 재개발 및 대중교통 체계 개편 등으로 변화한 환경을 반영하지 못하는 실정이었으며, 상업지역에 국한된 시행지역은 공간적 범위가 협소해 제도 시행효과 극대화의 걸림돌로 작용해 왔다.

 

square08_blue_5.gif 서울시는 현재 주차상한제 시행지역인 7개 지역 중 4대문 주변, 영등포, 신촌, 청량리, 잠실지역 등 5개 지역은 현행 범위를 유지하되, 영동지역과 천호지역은 대규모 교통유발시설물이 밀집해 있는 인근지역까지 공간범위를 확대한다.

 

square08_blue_5.gif 또 시는 뉴타운 등 도시 재개발에 따라 장래 교통혼잡이 예상되는 목동, 용산·마포, 미아지역을 신규 주차상한제 시행지역으로 지정한다. 대중교통의 접근이 양호한 철도 및 도시철도의 역사와 환승센터(복합환승센터 포함)를 중심으로 직선거리 500m 이내의 지역인 역세권도 주차상한제 신규  시행지역으로 지정한다.

 

<부설주차장 설치 한도 조정, 불필요한 주차장 설치로 인한 주차수요 유발 방지 >

 

square08_blue_5.gif 서울시는 건축주가 부설주차장을 설치할 수 있는 최고·최저한도를 조정, 선택범위를 확대[기존 10%(50%~60%) ⇒ 40%(10%~50%)]하는 내용을 골자로 주차상한제 시행지역 내 부설주차장 설치제한 기준을 개선함으로써 주차수요발생 억제효과를 높인다.

   서울시는 주차상한제 시행지역 내 부설주차장 설치 기준 한도를 상한선 50%, 최저한도는 10% 이상으로 설정, 그 범위 내에서는 시설물의 건축주가 자율적인 판단에 따라 부설주차장의 설치규모축소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장애인 및 교통약자, 긴급자동차, 화물조업을 위한 하역공간 등을 고려한 최소주차공간만은 담보될 수 있도록 한다.

   또 대중교통수단 접근성이 가장 양호한 전철역/지하철역사와 복합환승센터 입주 시설물에 대해서는 일반지역 부설주차장 설치기준의 1/3을 상한선으로 하는 등 설치기준을 강화한다.

   그러나 시는 지역적 교통여건이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통영향분석·개선대책심의위원회’의 심의대상 시설물로서 심의위원회의 조정이 필요하다고 인정한 경우엔 이러한 최저한도에도 불구하고 위원회의 조정 설치기준의 최저한도에 따르도록 할 계획이다.

square08_blue_5.gif 이와 같이 주차상한제의 부설주차장 설치기준이 개선될 경우 건축주는 자율적 판단에 따라 부설주차장의 설치규모를 탄력적으로 선택, 부설주차장을 설치할 수 있는 선택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불필요한 주차장 설치로 인한 주차수요 유발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동안 건축주는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도 규정상 어쩔 수 없이 부설주차장을 설치하는 등의 불편을 감수해야 했다.

square08_blue_5.gif 서울시는 이번에 마련된 주차상한제 개선계획을 통해 주차상한제 시행지역이 현재보다 대폭 확대됨에 따라 고유가시대의 에너지 절약 배기가스절감에 의한 환경오염 개선 교통혼잡의 완화로 사회적 비용절감 등 다양한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울시 조사결과에 따르면 ’97년 주차상한제 시행이후, 주차상한제 적용 시설물 354개소에서 총 5,456면의 주차구획이 축소 설치됐으며 이를 통한 일평균 주차수요 감축효과는 11,220대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를 유류비 및 대기오염 절감 비용 등을 포함한 총 사회적 비용으로 환산하면 연평균 487억원의 비용절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주) 공영주차장 요금기준 1급지 지역중 “전철/지하철역과 환승센터의 가장 가까운 출입구로부터 직선거리 500m 이내의 역세권 지역”은 미표시된 도면임

<붙  임> 1. 주차상한제 개선 계획(요약)

             2. 공영주차장 주차요금 1급지 확대 지역

             3. 부설주차장 설치제한기준 개정(안)

             4. 주차상한제 시행효과 분석

 

담당부서 : 서울특별시 도시교통본부 주차계획담당관 (☎3707-9792)


  1. No Image notice

    건축관계법규 법률용어정리

    건축관계법규 법률용어정리 정밀하고 정치한 해석을 요하는 것 중에 대표적인것이 법률용어다. 잘못하면 역해석이 나올 수도 있고 심지어 내용을 누락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쉬운 듯 하면서 건축관계법규에서 사용하는 몇 가지를 예시를 통하여 서술한다. 1. ...
    Category용어 Views265,302
    read more
  2. No Image notice

    전국자치법규

    링크를 클릭하시면 해당시의 자치법규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서울 법무행정정보] 강남구 금천구 동작구 송파구 은평구 서대문구 강서구 강동구 노원구 마포구 영등포구 광진구 양천구 강북구 도봉구 성동구 종로구 중구 관악구 구로구 동대문구 성북구 중랑구...
    Category국계법 Views293,432
    read more
  3. No Image notice

    용도지역의 정의

    용도지역의 정의 토지의 이용 및 건축물의 용도, 건폐율, 용적률, 높이를 제한함으로써 토지를 경제적,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공공복리등 도시기능의 증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서로 중복되지 아니하게 도시관리계획으로 결정하는 지역 도지역 지정목적 도시지역...
    Category용어 Views286,388
    read more
  4. No Image notice

    도로 및 지목 종류 구분

    도로종류 및 구분 구 분 도로의 폭 차 로 자주 표시되는 내용 광로 1류 70m 이상인 도로 10차로 이상 2류 폭 50m 이상 70m 미만 6 ~ 8차로 3류 폭 40m 이상 50m 미만 대로 1류 폭 35m 이상 40m 미만 4 ~ 6차로 상업지역에서 접함으로 2류 폭 30m 이상 35m 미...
    Category용어 Views274,669
    read more
  5. 주차장법 시행규칙(주차장 주차구획 기준 확대)

    ◇ 개정이유 기계식주차장의 정밀안전검사제도를 도입하고, 기계식주차장치 관리인에게 주차장 관련 법령, 사고 시 응급처치 방법 등 기계식주차장의 관리에 필요한 교육을 받도록 함으로써 기계식주차장의 안전을 확보하고 기계식주차장 이용자를 보호하는 내...
    Category주차장법 Views3,463
    Read More
  6. No Image

    서울특별시 주차장 설치 및 관리조례2009.07.30 조례 제4823호 (개정)

    [별표 2] 부설주차장의 설치대상시설물종류 및 설치기준(제20조제1항 관련) 시설물 설치기준 1. 위락시설 시설면적 67㎡당 1대 2. 문화 및 집회시설(관람장을 제외한다), 종교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의료시설(정신병원·요양소 및 격리병원을 제외한다), 운...
    Category주차장법 Views13,804
    Read More
  7. No Image

    서울특별시 주차장설치 및 관리조례 일부개정조례(안)입법예고

    ◈서울특별시공고 제2009-821호 서울특별시 주차장설치 및 관리조례 일부개정조례(안)입법예고 「서울특별시 주차장설치 및 관리조례」를 개정함에 있어 그 입법취지와 주요내용을 시민에게 널리 알려 의견을 구하고자 「서울특별시 자치법규의 입법에 관한 조...
    Category주차장법 Views11,777
    Read More
  8. No Image

    서울시 주차상한제 개선계획

    - 주차상한제 시행지역인 공영주차장 주차요금 1급지 지역 7개에서 11개로 확대 - 부설주차장 설치 한도 조정, 불필요한 주차장 설치로 인한 주차수요 유발 방지 - 주차상한제 실시로 일평균 주차수요 11,220대 감축, 연평균 487억원 비용절감 서울시는 도심 ...
    Category주차장법 Views14,503
    Read More
  9. No Image

    강남구청 부설주차장 설치제한지역 변경알림(2009.03.18.시행)

    서울특별시 주차장 설치 및 관리조례 개정(2009.03.18.)으로 따로붙임과 같이 우리구 부설주차장 설치제한지역에 대하여 요약하여 알려드립니다. 자세한 사항은 서울특별시 주차장 설치 및 관리조례-www.seoul.go.kr 자치법규(2009.03.18.)를 참고하시기 바랍...
    Category주차장법 Views13,963
    Read More
  10. No Image

    부설주차장 설치대상시설물 설치기준

    <별표2>(개정 2002.09.12, 2005.01.05, 2006.05.04, 2007.10.01) 부설주차장의 설치대상시설물 종류 및 설치기준 (제13조제1항 관련) 시 설 물 설 치 기 준 1. 위락시설 시설면적 67㎡당 1대 2. 문화 및 집회시설(관람장을 제외한다), 판매 및 영업시설, 의료...
    Category주차장법 Views12,348
    Read More
  11. No Image

    주차장의 주차구획<개정 2008.2.22>

    제3조 (주차장의 주차구획) ① 법 제6조제1항에 따른 주차장의 주차단위구획은 다음 각 호와 같다. <개정 2008.2.22> 1. 평행주차형식의 경우┌──────────────┬──────┬──────┐ │구분 │너비 │길이 │ ├──────────────┼──────┼──────┤ │경형 │1.7미터 이상│4.5미터 ...
    Category주차장법 Views13,84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나눔고딕 사이트로 가기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