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서양건축

02. 고대 이집트 건축 (Egyptian Architecture)

by mahru posted May 06, 200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고대 이집트 건축 (Egyptian Architecture)

02-00.JPG
(고대 이집트 BC3000∼322년, 유적지 위치도)

1. 건축의 배경

  • 지리적 상황

    • 나일강 유역의 비옥한 토양 → 사람들의 의식 속에 신과 생명의 상징 → 신전·분묘들이 모두 나일강과 연관

    • 나일강의 범람 → 댐을 건설하여 통제하고자 함 → 문명의 시작

    • 사방이 산맥과 사막으로 둘러싸인 폐쇄적 지형 → 외적의 침입이 적었으므로 장기간에 걸쳐 동일 민족문화를 육성·유지

  • 종교적 상황

    • 태양신을 유일신으로 섬기면서 영원성을 동경 → 인간의 영혼(Ka)도 영원하다고 생각하며 인간이 죽어도 'Ka'는 육체에 산다고 믿음.

    • 나일강을 태양신과 같이 영원성과 생명의 상징으로 여김

    • 신전은 나일강 동쪽(해뜨는 곳 : 탄생), 분묘는 서쪽(해지는 쪽 : 죽음)

  • 사회적 상황

    • 상부이집트와 하부이집트로 나뉨 → 문명이 발달한 하부 이집트에 의해 통일 

    • 계급 사회

    • 부역엔 주로 평민과 노예가 동원됨


2. 건축의 특징


1) 형태

  • ·작업으로서의 건축

    • 원시 이집트 건축

    •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갈대, 파피루스, 종려나무가지등)에 진흙을 바름

    • 원형 평면의 건물엔 원형 지붕,장방형 평면의 경우 터널 모양의 지붕

    • 목재는 고급 건축에 사용(목재가 부족) → 성숙한 예술과 건축을 형성시키는데 영향

  • 작품으로서의 건축

    • 단순한 입체 형태와 가구식구조

    • 아치 사용이 가능했지만 석조 건축엔 사용치 않음

  • 건축의 분류

    • 분묘 건축 : 마스타바, 왕의 피라미드, 절석분묘

    • 신전 건축 : 신격화된 왕에게 드리는 종교의식을 위한 분묘 신전 고대의 신과 신비의 신을 모시는 일반인의 예배를 위한 제사신전

    • 오벨리스크 : 태양신의 상징

2) 건축의 공간 구성

  • 4주실 : 성소로 가는 통로로서의 휴식 공간

  • 암굴 분묘 : 현관, 전실, 기둥으로 된 홀, 성실

  • 성소 : 왕과 성직자만이 들어감

3) 건축의 구조

  • 주재료 : 진흙으로 된 흙벽돌, 석회석, 화강석 등의 석재

  • 모든 벽체의 저변(底邊)을 크게 하는 벽체의 경사 형식은 이집트 건축의 일반적인 형태

  • 석조 건축의 구조 형식 - 주로 가구식, 기둥과 보로 조립됨

    • 처음(제3왕조)엔 묘의 통로나 내부및 지하 구조에 Vault를 사용했으나 팽대한 면을 단조로운 형식으로 처리하기 위해서 보에 의한 가구식 구조(Lintel Structure)를 사용

  • 벽체는 방향의 돌을 몰탈없이 쌓아올렸고 벽면의 경사는 벽체에 안정감을 주어 아름답게 하는 건축적인 표현 기술

4) 건축의 특성

  • 극히 간단한 구조에서 극히 웅대한 성과를 이룩     예) 기제의 피라미드

  • 건축에 있어서 일정한 일관성(평면 구성 형식과 건축 구조)을 유지

  • 구조물에 흙을 많이 사용 (강우량이 적고 뜨거운 태양열 때문)

  • 석조 기술 사용(나일강 상류의 풍부한 석재) → 세계 최초로 석조주두를 개발

  • 경사벽의 형식 : 일건연화(日乾煉瓦)나 석재에 의한 조적방식의 연구에 힘써 벽체를 하부는 넓고 상부는 좁게 함 → 자중 때문이며 벽체의 조형적 양식으로 발전

5) 기타

  • 이집트 건축과 시대 분류

  • 고왕국시대(BC3200∼2160, 제1∼10왕조)

    • 나일강 하류의 멤피스가 수도.

    • 신전은 거의 세워지지 못했고 주로 마스타바와 피라미드가 세워짐 (제2∼3왕조엔 주로 마스타바가, 제4왕조엔 피라미드가 세워짐. 이후 마스타바는 귀족의 분묘로 이용)

    • 중왕국시대(BC2160∼1580, 제11∼17왕조)

    • 힉소스에 의해 피정복됨.

    • 수도가 나일강을 따라 멤피스에서 계곡 지대인 테베로 옮겨짐 → 지형상의 무리와 환경에 대한 조형성의 문제로 마스타바와 피라미드는 세워 지지 않음 → 산허리나 절벽을 파서 암굴분묘성행

  • 신왕국시대(BC1580∼525,제18∼30왕조)

    • 힉소스의 격퇴.                  

    • 이집트 문화의 절정기(18, 19, 20왕조)로 많은 신전이 세워지고 수도 주위에 왕가의 계곡과 왕비의 계곡이 생김.

    • 자연 환경에 순응한 훨씬 인간적인 건물.

3. 이집트 피라미드의 발전과 의미

  • 발전 과정

    • 마스타바 → 계단식 피라미드·굴절피라미드 → 기제의 피라미드(200년 걸림).

02-01-1.jpg
 02-01.jpg
그림 1 (피라미드 발전과정)
  • 용도 : 왕이나 귀족의 'Ka'가 안식할 수 있는 곳.

  • 형태 

    • 처음엔 분묘의 언덕이나 구릉의 형태를 딴 마스타바에서 보다 큰 형태로 발전 → 하중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점점 위가 좁고 아래가 넓게 변하여 기제의 피라미드 형태로 완성.

    •  단순한 기하학적 매스는 평탄한 주위에 대해 강한 우월성과 나일강에서 영감을 얻은 영원성 상징

  • 의미

    • 거대한 공사에 많은 인원을 동원하면서 국가와 사회의 정비와 발전에 영향(행정, 경제적 요인).

    • 최초의 거대 석조 건축으로서 기술적으로 성공.

    • 'Ka'를 보호하는 안식처의 기능은 실패(도굴됨) → 이러한 문제는 후에 암굴 분묘와 신왕국의 분묘 신전에서 해결하려 노력함.


4. 건축의 실례


1) 분묘 건축


▶ 마스타바(평탄한 탁상, 아랍어로 bench)

 

02-02.jpg
A 묘실 B 묘실로 통하는 수직 통로 C 소신전 D가짜문 E세르답 F 입구
그림 2 (마스타바의 예, BC3000년경)

     

  • 구조 : 흙벽돌 사용 → 3왕조부터 석조

  • 형태 

    • 경사진 측면을 갖는 간단한 입체 높이 20∼50m 폭 15∼37m.

    • 상부에는 ka에게 바치는데 쓰인 제사실과 죽은 상을 보관하는 sardab과 묘실로 이루어짐. 

    • 주로 왕의 조신들의 무덤으로 쓰임.

  • 의미

    • 단순한 관심을 나타냄 → 자기 자신을 초월하고 인간의 존재와 삶을 영원히 이어 가고 싶어하는 인간의 근본적인 욕구


▶ 삭카라의 조세르왕 계단 피라미드와 그 복합 건물군 (Ensemble tuneraire de Djesera Saqqara)

02-03.jpg
a 지하묘실 b 수직통로 c 마스타바 d 1-3차 축조부분 e 4차 축조부분 f 5차축조부분
     그림 3 (계단피라미드를 통과하는 동서 단면)

02-04.jpg
A.입구    B.필라로이우어진 의식행렬용 홀    C.대전정    D.계단피라미드   E.헤브세드 중정 
F.모조채플   G.신전정전   H.신전    I.북궁     J.남궁   K.마스타바   L.창고

그림 4 (조세르 왕 복합건물군의 사투상도 및 부분평면)

  • 구조 및 형태

    • 임호텝이 설계한 사상 최초의 석조 건물

    • 여러 개의 마스타바가 중복된 계단 피라미드

    • 엄격한 직교 배치이지만 축에 의한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음

    • 'Ka'의 영원성을 시각적으로 형상화

    • 출입구 홀 : 최초의 의미 있는 실내 공간 (빛을 이용)

    • 필라스터 : 벽에 부착된 기둥 → 독립 기둥은 시도되지 못함

  • 의미

    • 기술적으로는 성공, 기능적으로는 실패

    • 연속성과 영원성을 나타내는 형태적 표현


▶ 기제의 피라미드

  • 건축적 형태

    • 최초의 석조 건축물 중의 하나, 영원한 보존.공간(외부 공간과 작은 스케일의 실내 건축)이 전적으로 석조로 된 건축이기 때문. 

    • 피라미드가 발전해 나가면서 매스, 선 그리고 면이 주된 형태 요소로 쓰임.

    • 식물 재료에서 따와 수직 부재의 형태를 씀.

    • 완전 독립된 수직 부재를 연결 못함 (수직지지 부재 : 기둥이나 피어로 불림).

    • 피라미드의 방위는 4지점에 따라 향이 정해 짐.

    • 피라미드에는 위로 오르는 대회랑을 가진 국왕 묘실이 있다.

  • 배치

    • 피라미드 → 소신전 → 계곡 신전 → 강

    • 소신전 : 제물이 바쳐지고 제례가 행하여 졌으며 의복, 음식, 제례용 용기등에 저장.

    • 계곡 신전 : T자형으로 이루어진 가구식 건물, 장식이 배제됨.

    • 피라미드의 방위는 4지점에 따라 향이 정해 짐.

    • 피라미드에는 위로 오르는 대회랑을 가진 국왕 묘실이 있다.

  • 구조

    • 피라미드는 견고한 원축형 핵과 여기에 기대어 있는 몇 겹의 경사진 벽돌로 구성.

    • 내부의 방들에는 부조가 새겨 있는 상판과 함께 수평보를 사용.

    • 수직적, 수평적 구조재가 완전히 통합된 최초의 예.

  • 건축적 의미

    • 왕권의 지고함을 의미 (왕은 태양신의 아들).

    • 영원성과 안전성을 상징.

    • 기제 피라미드는 안정과 안전, 자기 방어에 대한 인간의 욕구와 갈망을 나타냄.

    • 기술적으로는 성공,기능적으로는 실패('카'를 위한 물질적 보호와 안정이 불안정 하기 때문), 형태적인 면 성공 (이집트인이 동경하는 영원성의 표현).

    • 사후까지도 왕의 권력이 계속되는 영원성을 나타냄 

02-05.jpg
그림 5 (하부이집트에 자리잡고 있는 피라미드의 유적들)
02-06.JPG
1. 쿠푸왕의 피라미드   2. 카프레왕의 피라미드    3. 멘쿠레왕의 피라미드  4. 스핑크스   5. 나일강으로의 수로(추정)
그림 6 (기제의 피라미드군의 평면)


▶ 분묘 신전

  • 멘투호텝왕의 분묘신전건물군(BC1991)

    • 하부구조는 커다란 정방형의 주랑이 붙은 기단을 이중으로 하고 상부 기둥 중앙에 피라미드를 얹음.

  • 람세스 2세의 분묘 신전(BC1257).

    •  내외부의 왕의 거대한 조각상 : 리듬감, 장식적 역할뿐만 아니라 구조적 기능 겸함

  • 핫셉수트 여왕의 분묘 신전(BC1500년경)

    • 형태 

      • 가구식 구조로 구성된 벽들과 열주량을 가진 세개의 테라스로 이루어짐

      • 경사로를 통해 계곡 밑바닥으로부터 상승

      • 자연과 건축의 조화 : 테라스 가장자리의 긴 수평선, 기둥의 짧은 수직선, 기둥에 의한 명암의 반복 율동, 좌우 대칭, 건물 배경의 암석

      • 건축과 조각을 통합 : 둥근 수직 부재와 사각의 수평 부재를 연결

      • 건축가 센무트의 단구 활용법 : 신전의 부지에 있는 석재로 세웠기 때문에 주변의 손대지않은 바위들과 완전한 조화를 이룸. 

        • 신전의 옆모습이 자연적인 단구와 같이 반복되어있으나 그 스케일은 인간적인 스케일로 되어있음. 

      • 기능 : 신성시된 여왕을 위한 종교의식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

      • 차츰 상승하는 통로의 성격 : 초월에 대한 갈망

      • 의미 : 영속성, 점진, 점이

02-07.jpg
그림 7 (핫셉수트 여왕의 분묘신전 평면)


2) 신전 건축

02-08.jpg

그림 8 (카르나크의 콘스신전)

02-09.jpg

그림 9 (호루스의 탑문식 신전, 에드푸, BC 237~212년경)

02-10.jpg

그림 10 (전형적인 탑문식 신전의 평면)
  • 용도 : 분묘 신전과는 달리 장제(시신을 놓아둠)실과는 무관한 오직 신을 위한 신전으로  

    • 독립적으로 발전

  • 공간구성

    • 신전의 평면은 단일축을 따라 배치

    • 공간의 변화(공간 분할의 3분법) 

    • 신전의 외부 첫번째 공간:넓고 개방, 빛이 충만 (공적)

    • 안쪽으로 감에 따라 더 낮아지고 좁아지고,어두워짐 (사적 공간)

    • 신상이 놓여진 방 - 가장 작고,어둡고,비밀스러운 곳

  • 진입 경로 : 비스듬히 누운 동물상이 나열되어 있는 길 → 오벨리스크 → 파라오 조각상 → 파일론 → 열주량의 중정 → 육중한 기둥의 다주실 (이집트 문화의 기본적상징인 통로를 실체화) → 성소(聖所 : Sarctuary)

  • 파일론(Pylon) 

    • 벽면이 아래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육중한 탑문

    • 신전의 정문격, 상부와 양 측면은 모울딩처리

  • 오벨리스크(Obelisx) : 태양신의 상징

    • 후에 로마인들이 로마의 기념적 건물의 상징물로 옮김(성베드로 성당의 광장, 캄피돌 리오 광장, 판테온)

▶ 아몬-레 신전(카르나크, BC1300년경)

02-11.jpg
그림 11 (아몬-레 신전, 카르나크, BC1300년경)
  • 아몬(Ammon) - 테베지방의 신흥 태양신 .

  • 레(Re) : 멤피스 지방의 태양신 → 하부 이집트에 의한 통일의 증거

  • 신전의 전면에 람세스2세가 건축한 거대한 다주실이 가장 인상적

  • 다주실 

    • 53m×102m낮고 밀집된 공간과 높고 덜 밀집된 공간의 대조는 중앙의 높은 천장 부분의 '통로적인 성격'을 나타내어 의식 행렬을 앞으로 인도해 나감.

    • 중앙부의 상부에 클리어스토리에 유입되는 빛으로 효과를 더욱 극대화함

    • 양 측면의 낮고 어두침침한 부분은 신비한 종교의식이나 신탁을 받던 곳으로 생각됨

    • 중앙부 기둥 : 구조적 역할이 약함

    • 주된 요소 : 선, 수평축

  • 개방되고 폐쇄된 공간의 연속

자료출처 : 『서양건축사』 Winand Klassen(심우갑,조희철 옮김):대우출판사, 윤장섭:동명사, 정인국:문운당

『인터넷』www.youtube.com(동영상), www.google.com ('수정 후 비상업적 용도로 재사용 가능' 이미지)

Articles

1 2 3 4 5 6 7 8 9